1. 비트레이트(BitRate)


  비 트 레이트는 비트(bit) + 레이트(rate,비율)의 합성어로, 정보의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1초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들이 흘러가는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데이터량이 많을수록 즉 숫자가 커질수록 소리는 원음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비트레이트를 많이 집어 넣으면 넣을 수록 비트의 수는 그만큼 커지게 되므로 용량 또한 더 커지게 됩니다.  비트레이트는 고정(CBR)과 가변(VBR)로 나뉩니다.


- CBR(Constant BitRate)

  이 방식은 고정 비트레이트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고정된 비트레이트를 사용해서 압축을 합니다. 보통 VCD(Video CD)의 경우가 그런데 이것은 초당 1150 kbit를 사용해서 모든 프레임을 압축 합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인코딩(Encoding)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은데 반면 처음부터 끝까지 항상 고정된 비트레이트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많은 곳에서는 화질저하가 생기게 됩니다. 그러므로 움직임이 많은 동영상(스포츠, 액션 영화 등)에는 사용상 부적절함이 있습니다.   


- VBR (Variable BitRate)

  이 방식은 크게 세가지 방식으로 압축을 행하는데 Average(보통), Max(최대), Min(최소) 으로 나뉩니다. 평상시에는 보통(Average)의 비트만을 사용하다가 움직임이 빠른 곳에서는 최대(Max) 비트를 사용하고 움직임이 없는 곳에서는 가장 낮은 최소(Min)비트만을 사용해서 압축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서 CBR 방식에 비해 더 작은 용량에 더 좋은 화질을 만들어 내므로 더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VBR방식은 압축할려는 비디오 전체를 한번 읽고 처음부터 다시 압축을 행하기 때문에 CBR 방식에 비해 보통 압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두배이상 걸리게 됩니다.


- AVR(Average BitRate)

   VBR 방식이 평균(Average), 최대(Max), 최소(Max)를 사용자가 지정해서 압축을 한다면 ABR 방식은 평균이 되는 수치만을 적용해 주면 자동으로 그 변동폭을 조절하여 압축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로 DivX 코덱의 VBR 방식과 유사하며, 그런 이유(비트레이트의 변동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로 요즘은 DivX 코덱의 VBR 방식을 개선하여 SBC 라는 인코딩 방식을 통해 압축을 하기도 합니다.


- SBC(Smart Bitrate Control)

  Virtual Dub의 변형인 Nandub 이나 Gordian Knot을 사용해 좀 더 정교하게 DivX(버전 3.11 Alpha) 인코딩을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CBR 이나 VBR에 대응하는 전혀 새로운 방식의 인코딩 방식이 아닌 DivX 코덱을 사용해서 최대한 용량대 화질을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코딩 방법입니다. 요즘 인터넷 등에서 떠도는 DVDRip(DVD에있는 영화를 추출한다는 의미)의 DivX 영화를 보면 일반적인 DivX 영화가 있고 최근에 들어선 SBC     DivX 영화라고 되어 있는것들이 있는데 이런 영화들이 바로 이 방식을 사용해서 압축되어진 영화라는 뜻이됩니다.  하지만 SBC 방식의 인코딩법은 보통 한번의 가상 인코딩 과정을 거친 후에 실제 인코딩이 시작되기 때문에 보통 일반적인 DivX 인코딩 보다 약 2배 이상의 시간이 소비되고 프로그램의 사용법 또한 쉽지않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 쉽게 제작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2. 샘플레이트

  

  샘플 레이트는 아날로그 음성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할 때 1초 동안 나타낼 수 있는 음의 샘플링 비율단위로 수치가 높을수록 원음에 가깝습니다.



3. 사운드의 샘플링 개념


  소 리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컴퓨터에서 소리 신호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일이 필요합니다. 사운드 카드에서 처리하는 사운드는 디지털 데이터로 샘플링 된 것입니다. 여기서 샘플링을 한다는 것은 신호를 짧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각각의 진폭을 숫자로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기를 얼마나 크게 하느냐, 즉 얼마나 샘플링을 자주 하는 가에 따라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를 얼마나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달려 있습니다.

  사운드 샘플링의 대표적인 방법인 PCM 방식으로 설명을 하면 이렇습니다.

PCM 방식으로 디지털화 하는데 고려할 중요한 사항은 샘플링 비율과 샘플의 크기 표현이다. 샘플링 비율은 시간 폭을 말하는데 헤르쯔(Hz) 단위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샘플링 될 주파수의 2배 이상의 샘플링 비율을 가져야만 음의 표현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1.025 KHz 라 하면 1초에 11,025개의 작은 시간 단위로 나누었다는 의미입니다.


 샘 플의 크기 표현은 소리의 크기를 몇 비트의 크기로 표현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8비트는 256 가지로 소리의 크기를 구분할 수 있으며, 16비트는 65,536가지로 소리의 크기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16비트로 표현하면 더욱 정확한 소리의 표현이 가능하나 저장 공간이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by 투명돼지 2010. 9. 11. 06:11
다음 블로그가 9월 7일부터 파이어폭스에서 제대로 동작하질 않는다.(글등록안됨, 페이지가 짤려서 보임, 기타등등...) IE에서도 잘 안되더니 ActiveX설치하라는 메시지도 보인다. 드디어 다음에서 쓰레기 ActiveX를 가지고 장난을 치기 시작한 것인가.
정말 안타깝다. 빨리 다른곳을 알아봐야겠다. 몇 년동안 써온것인데 말이지...

제대로 열렸을 때


지금 파이어폭스에서 아래부분이 짤려 나간다.

9월 9일 확인해보니 예전대로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열린다. 앞으로는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랄뿐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민번호와 회원가입없이 인터넷 택배신청 가능한 회사  (0) 2010.09.14
비트레이트, CBR, VBR, AVR, SBC, 샘플링..  (0) 2010.09.11
랜선  (0) 2010.08.27
CS5  (0) 2010.08.24
IEEE 1394, USB  (0) 2010.08.23
by 투명돼지 2010. 9. 8. 08:34

랜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랜선은 UTP케이블 입니다...

방식은 다이렉트케이블과 크로스케이블이 있습니다..

모뎀과 모뎀, 컴과 컴을 연결할때는 크로스케이블을 써주고


모뎀에서 컴과의 연결은 다이렉트케이블을 사용합니다.

즉,  다이렉트 케이블은 서로 다른 장비끼리 연결할 때 사용하고,
크로스 케이블은 같은 장비 끼리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자세히

1번: 화이트+오렌지
2번: 오렌지
3번: 화이트+그린
4번: 블루
5번: 화이트+블루
6번: 그린
7번: 화이트+브라운
8번: 브라운


다이렉트(direct, PC to Hub) 케이블: 양쪽 끝 모두 12345678로 배열함. 허브와 PC를 연결하거나, 라우터와 허브를 연결할 때 주로 사용. 케이블의 양쪽 모두 1, 2번은 TX(송신측: 출력단자), 3, 6번은 RX(수신측: 입력단자)이다. 즉, 통신할 때 8개의 선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4개의 선만을 사용하고 나머지 4개의 선은 예비선이다.


크로스(crossover, PC to PC) 케이블: 한쪽은 12345678로 다른 한쪽은 36145278로 배열함. 1, 2번과 3, 6번이 서로 바뀜. 장비 대 장비를 연결할 때 사용함. PC끼리 연결하거나 허브끼리 연결시 주로 사용. 한쪽 네트워크 카드의 출력 단자의 신호가 다른 쪽 네트워크 카드의 입력 단자로 전달되도록 케이블의 내부 배선을 변경 한 것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레이트, CBR, VBR, AVR, SBC, 샘플링..  (0) 2010.09.11
다음 블로그가 드디어 다른곳과 같이 쓰레기가 되는걸까?  (0) 2010.09.08
CS5  (0) 2010.08.24
IEEE 1394, USB  (0) 2010.08.23
11g 와 11n 의 무선속도  (0) 2010.08.10
by 투명돼지 2010. 8. 27. 10:20

CS5

- 인텔 펜티엄 4 및 AMD 애슬론 64 이상
- 프리미어 프로와 애프터 이펙트는 코어2듀오, 페넘2 이상 필요
- XP 서비스팩3, 비스타, 윈도우7 필요
- 프리미어 프로와 애프터이펙트는 64비트 비스타나 윈도우 7이 필요합니다
  (즉, XP나 32비트는 지원안함)
- 하드웨어 가속 OpenGL 그래픽카드, 16비트 컬러, 256메가 VRAM 필요
- 프리미어 프로에서 그래픽 가속을 받는 칩셋
  (쿼드로 CX, 쿼드로 FX 3800, 4800, 5800, 지포스 GTX 285 )
- 포토샵 CS5 익스텐디드는 CUDA를 지원하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만이 가속해줍니다.
  (AMDATI의 칩은 미지원)
- 다른 CS5 소프트웨어는 대부분의 그래픽칩셋이 있으면 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블로그가 드디어 다른곳과 같이 쓰레기가 되는걸까?  (0) 2010.09.08
랜선  (0) 2010.08.27
IEEE 1394, USB  (0) 2010.08.23
11g 와 11n 의 무선속도  (0) 2010.08.10
불법체류자 단속  (0) 2010.08.05
by 투명돼지 2010. 8. 24. 06:37

IEEE 1394, 혹은 파이어와이어(FireWire), 아이링크(i.Link)는 미국의 애플 컴퓨터가 제창한 개인용 컴퓨터 및 디지털 오디오, 디지털 비디오용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이다. IEEE 1394는 데이터의 고속 전송과 등시성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IEEE 1394는 낮은 단가와, 간단하고 융통성 있는 케이블 시스템 덕에 병렬 SCSI를 대체하였다.

IEEE 1394의 규격은 파이어와이어 400과, 800이 있는데 각각 약 100/200/400Mbps, 8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두 규격은 모두 핫 플러깅을 지원한다.

IEEE 1394의 두 형태는 6Pin(전기공급:2Pin, 데이터전송:4Pin)과 4Pin(데이터전송:4pin)으로 구성되어 있다.


USB 1.0
- 1.5 Mbit/초 (Low speed), 12Mbit/초 (Full speed)가 제공된다.

USB 2.0
- 최대 480 Mbit/초 (Hi-Speed) 속도를 제공한다.

USB 3.0
- 최대 속도는 5Gbps이며 USB 1.0, 1.1, 2.0 등과 하위 호환되어 USB 3.0장치를 USB3.0포트에 연결하거나 USB3.0장치를 USB2.0장치에 연결하는 경우 모두 USB 2.0 하위호환모드로 동작한다. 추가된 5개의 단자때문에 케이블 연장선을 이용할 경우 USB3.0 규격의 케이블을 사용해야 한다.
- 전압은 5V로 동일하나, 버스 전류가 900mA(USB2.0의 경우 500mA)로 늘어난다. 휴대기기의 충전 시간 등이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랜선  (0) 2010.08.27
CS5  (0) 2010.08.24
11g 와 11n 의 무선속도  (0) 2010.08.10
불법체류자 단속  (0) 2010.08.05
CORE Or Boost?  (0) 2010.07.31
by 투명돼지 2010. 8. 23. 07:24

11g는 최대 54Mbps, 11n은 150~300 Mbps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5  (0) 2010.08.24
IEEE 1394, USB  (0) 2010.08.23
불법체류자 단속  (0) 2010.08.05
CORE Or Boost?  (0) 2010.07.31
미친 nate  (0) 2010.07.29
by 투명돼지 2010. 8. 10. 17:54
불법체류자 단속에 대한 주무부서는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이고, 불법체류자에 단속은 상시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불법체류자 신고 전화 1588-7191 로 연락주시면 조속히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EEE 1394, USB  (0) 2010.08.23
11g 와 11n 의 무선속도  (0) 2010.08.10
CORE Or Boost?  (0) 2010.07.31
미친 nate  (0) 2010.07.29
소음환경기준  (0) 2010.07.22
by 투명돼지 2010. 8. 5. 06:20

Intel arms its Core i5 and Core i7 CPUs with Turbo Boost. AMD's hexa-core Phenom II X6 chips sport Turbo CORE. Both technologies dynamically increase performance based on perceived workloads and available thermal headroom. Which one does the better job?
Automotive turbochargers increase torque and power output, which is why they're used to increase the air-fuel mixture rate per combustion cycle. AMD’s and Intel’s performance-improving technologies don't actually a require an additional piece of hardware bolted on like a turbo would be, but they both invoke the gas compressor namesake anyway.

Instead, both companies' latest six-core models dynamically increase their clock rates to deliver better performance under workload conditions that allow for faster frequencies. We wanted to see whether Intel's Turbo Boost or AMD's Turbo CORE is the better implementation.

Intel was first to offer this performance-enhancing feature. Its Nehalem architecture and the Core i7-900 family first introduced Turbo Boost in late 2008. The technology is capable of accelerating all cores by one clock speed bin (133 MHz) and one or two cores by two speed increment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model). In 2009, the Lynnfield Core i5/i7 quad-core processors for LGA 1156 enabled a more advanced implementation able to accelerate one or two cores by four clock speed increments. The 800-series even bumps clock speed up by five clock speed bins for a single core. One speed bin equals 133 MHz at stock speed, so we’re effectively talking about a 133 to 533 MHz dynamic increase. Turbo Boost is also an available feature on the Clarkdale-based Core i5 dual-core chips.

AMD introduced Turbo CORE with its six-core Phenom II X6 and will keep adding the feature to new models. While Intel's implementation allows the CPU to specifically accelerate one or more cores, AMD’s approach only accelerates three cores in the case of a six-core CPU and only two with quad-core processors.

We grabbed the latest AMD Phenom II X6 and Core i7-980X six-core processors to find out which implementation works best across our benchmark suite in terms of performance and power efficiency. Since the performance level of these two chips is rather different—Intel has more punch—we decided to compare benchmark results with and without the Turbo feature and normalize these to 100% for the non-Turbo results. This way we can compare the relative impact on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despite the absolute performance difference. In short, which Turbo implementation gives you more bang for the buck?

Turbo CORE is available on all AMD Phenom II X4 and X6 processors based on the recent 45 nm designs, namely the Thuban six-core and seen-in-the-wild but not-yet-available-at-retail Zosma quad-core models. Should it ever see retail availability, the Phenom II X4 960T at 3.0 GHz nominal speed could accelerate two cores up to 3.4 GHz (+400 MHz) with the thermal headroom available, and if the application load demands the increase. The Phenom II X6 processors increase their clock speeds by 500 MHz, with the exception of the 1090T flagship, which adds 400 MHz to reach from 3.2 to 3.6 GHz.

This implementation can be considered an addition to the Cool’n’Quiet feature, which reduces clock speeds and voltages if there is little work for the processor to do. Once half of the cores are idle, the system reduces their clock speed to the Cool’n’Quiet minimum of 800 MHz. The next step is a voltage increase for the remaining active cores paired with a speed lift of up to 500 MHz, as explained above.

Unfortunately, few workloads would tax exactly three cores by 100%—the conditions needed for AMD’s solution to run at 3.6 GHz. We found that a two-core load scenario is more realistic. This is why the feature works better on a CPU with an even core count, such as the Phenom II X4 960T.

AMD’s Turbo CORE control allows Black Edition processor users to adjust their number of accelerated cores. This makes analysis more complex, but also gives enthusiasts a more powerful tool for fine tuning their systems.

Intel's implementation works best on processors with a lot of scalability inherent to their design, as Turbo Boost covers much broader clock speed ranges. For example, the new six-core "Gulftown," Core i7-980X, is already running close to its thermal ceiling under load. Thus, it's limited to a 266 MHz boost with a single core active, and a modest 133 MHz bump when two or more cores are active. Knowing that Intel’s overclocking headroom is sizable, this is really a pity for enthusiasts. After all, the Phenom II X6 can speed up three cores by up to 400 MHz using a 45 nm process.

Intel’s power gate transistors facilitate cutting power to individual cores. This allows the processor to actually disengage those cores from the overall power envelope, consequently "buying" the overhead needed to increase the remaining cores’ clock speed. The premise here is that fewer cores can run at higher clock speeds before they reach the same thermal output.

While AMD basically reduces clock speed and voltage for inactive cores, Intel can physically shut them down. In theory, this should result in lower power consumption and, paired with the ability to dynamically scale one or more cores up or down, a better overall performance result.

Intel has another advantage that should be mentioned. While AMD's six-core processors access 6 MB of shared L3 cache, Intel's architecture currently offers a massive 12 MB repository. If you switch off individual cores, the remaining active processing units can still access the full 12 MB L3. This should provide advantages for applications that work with limited data and use few threads.

3DMark, a synthetic benchmark, realizes a slight advantage from Intel's architecture and Turbo Boost.

PCMark Vantage clearly shows that Intel’s approach delivers performance gains while AMD’s Turbo Core doesn’t seem to help as much.

iTunes is single-threaded, and is better-accelerated on the Phenom II X6 with Turbo CORE enabled.

The same applies to Lame.

MainConcept is optimized to take advantage of multiple cores, so it benefits more from Turbo Boost, which can kick in even if many cores are taxed.

Once again, we see the multi-threaded advantage in HandBrake, where AMD's processor easily hits its limits on all six cores, preventing Turbo CORE from kicking in.

As expected, switching the Turbo features on or off doesn’t change idle power.

However, peak power increases under Turbo Boost and Turbo CORE. The differences are small, though.

The runtime for our full efficiency suite decreases a bit more on the Intel platform, as there are more applications taking advantage of Intel’s Turbo Boost implementation than AMD’s Turbo CORE.

Average power consumption is much higher on the AMD system with Turbo CORE enabled.

The total power used is exactly the same on the Intel system. This is interesting because the Core i7-980X with Turbo Boost is still faster. AMD’s Turbo CORE-enabled Phenom II X6 delivers more performance, but it requires more power to deliver it.

In the end, the Intel chip's efficiency stays constant. The total power used is exactly the same, but the average power is higher during the workload. As a result, the efficiency is identical. This is like reaching your destination faster in a car without changing your mileage per gallon. AMD’s Turbo implementation sacrifices power efficiency. Runtime decreases, but average power and total power used increase at a higher proportion.

We can only recommend that AMD and Intel continue implementing and developing their Turbo-oriented features. Both do their job in increasing performance. Since the two approaches are different, though, we found that their outcomes in real life are different, as well.

Let’s start with Intel. The six-core, 3.2 GHz Core i7-980X speeds up a single core by 266 MHz if a single-threaded application wants maximum performance, and it can accelerate all six cores by 133 MHz if thermal headroom allows. This is the main difference compared to AMD’s solution, because Intel's Gulftown design can accelerate single-threaded apps, as well as high-end applications. From a multi-core processing standpoint, Turbo Boost makes more sense than Turbo CORE, since all types of workload benefit when compared to nominal clock speed.

AMD’s Turbo CORE only knows one acceleration mode. It increases clock speed for three cores by up to 400 MHz in the case of the Phenom II X6 1090T 3.2 GHz six-core. This means that all applications that utilize no more than three cores experience immediate acceleration. In this case, we found that AMD's performance improvement is higher, as a 400 MHz upgrade is much more noticeable than Intel’s 133/266 MHz speed bump. The downside is nonexistent acceleration if four to six cores are being taxed.

Neither solution is a clear winner. Intel is better for extremely performance-hungry, multi-threaded environments, while AMD's approach provides more benefits for less-threaded environments. The best Turbo technology would be a more granular one, and a perfect Turbo mode would accelerate a single core by even more than AMD’s 400 MHz, two cores by around 400 MHz, three and four cores by less, and all cores by as much as the remaining thermal envelope allows.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g 와 11n 의 무선속도  (0) 2010.08.10
불법체류자 단속  (0) 2010.08.05
미친 nate  (0) 2010.07.29
소음환경기준  (0) 2010.07.22
Decibel (Loudness) Comparison Chart  (0) 2010.07.07
by 투명돼지 2010. 7. 31. 06:29
안녕하세요. 네이트/싸이월드입니다.

금번 ‘MAC 주소 및 컴퓨터 이름 수집’ 등과 관련해 회원님들에게 혼란과 불편을 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2010년 7월 28일부터 진행될 예정이었던 이번 개인정보취급방침 개정은 27일 철회됨에 따라
회원님들의 MAC 주소와 컴퓨터 이름은 전혀 수집된 바가 없음을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 회원님들의 궁금한 사항이 많으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에 문의가 많았던 내용 위주로 Q&A를 준비하였습니다. 이외에도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네이트/싸이월드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해 주시면 성심성의를 다하여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Q1. MAC 주소, 컴퓨터 이름이 무엇이고,
이를 알면 내 인터넷 활동이 다 드러날 수 있다는 소문이 있는데, 사실인가요?
A1. MAC 주소는 PC LANCard의 고유값이며, LANCard를 교체하거나 인위적인 설정을 하지 않는 이상
변경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이름(Hostname)은 각 PC에 설정된 이름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이며, MAC 주소와 달리 여러 동일한 이름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네이트/싸이월드에서는 MAC 주소와 컴퓨터 이름을 수집하여 비정상적인 인가자의 침해 시도를
현재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차단하기 위하여 수집 동의를 구하려고 했습니다.
MAC 주소와 컴퓨터 이름은 인터넷에 남지 않는 정보이며 회원님의 인터넷 활동이 노출되거나
해킹 등의 염려가 전혀 없음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립니다.

Q2. 개인정보취급방침 개정을 철회했지만, 그래도 MAC 주소와 컴퓨터 이름을 수집해 가는 것 아닌가 불안해요?
A2. 네이트/싸이월드는 현재 MAC 주소, 컴퓨터 이름을 수집하지 않고 있으며 7월 27일 사이트 내 공지한 것과 같이
개인정보취급방침 개정을 철회하기로 했으므로 이후로도 해당 정보들을 수집하지 않게 됩니다.
네이트/싸이월드는 정보통신망법을 준수하여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니 안심하시고 서비스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Q3. MAC 주소나 컴퓨터 이름을 수집하지 않으면 메신저 피싱을 예방할 수 없나요?
A3. 물론 아닙니다. 그동안 접속 IP, 로그인 IP 등에 대한 부정 사용자의 이상패턴을 분석해
메신저 피싱 보안 등에 이용해 왔으나, 여기에 MAC 주소나 컴퓨터 이름을 추가 수집해 보안을
더욱 강화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MAC 주소나 컴퓨터 이름을 수집해 활용하는 방안은
메신저 피싱 보안 등의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고려되었던 것입니다.

Q4. 현재 네이트/싸이월드는 개인정보 해킹으로부터 안전한가요?
A4. 네이트/싸이월드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른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의무를 준수하여
적법한 보안 시스템를 적용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보안 점검을 실시하고, 서버에 대한 비정상적인 접근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해킹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또한, ISO27001 인증 획득을 통해 회원님의 정보보호 체계 및 운영 인프라가 글로벌 수준에 따라
안전하게 관리, 운영되고 있음을 공인 받은 바 있습니다. 어느 사이트보다 해킹으로부터 안전함을
회원님께 약속드릴 수 있는 부분이므로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Q5. 앞으로 피싱예방 및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게 되나요?
A5. 현재 네이트온 대화창에 금전사기 관련 단어 입력 시 경고문구를 통해 주의 안내를 하고 있으며,
무료 보안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정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캠페인 진행을 통해,
회원님의 비밀번호 변경을 생활화해 계정 도용 등의 피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상패턴 가입 차단을 통해 대량의 허위 계정 생성을 방지하고, 이상패턴 로그인 사용자의
본인 인증 단계를 거쳐, 보안 강화에 더욱 힘쓰도록 하겠습니다.

네이트/싸이월드 서비스를 애정과 관심으로 이용해 주시는 회원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이번 일로 심려를 끼쳐드린 점 다시 한번 마음 속 깊이 사과드립니다.


미친 xx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법체류자 단속  (0) 2010.08.05
CORE Or Boost?  (0) 2010.07.31
소음환경기준  (0) 2010.07.22
Decibel (Loudness) Comparison Chart  (0) 2010.07.07
A decibel  (0) 2010.06.30
by 투명돼지 2010. 7. 29. 07:53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E Or Boost?  (0) 2010.07.31
미친 nate  (0) 2010.07.29
Decibel (Loudness) Comparison Chart  (0) 2010.07.07
A decibel  (0) 2010.06.30
Logitech announces four new HD webcams  (0) 2010.06.12
by 투명돼지 2010. 7. 22. 08:30
| 1 ··· 4 5 6 7 8 9 |